AI가 만들어낸 새로운 게임 경험 시대 도래

투이컨설팅 디지털연구소

이번 ‘CES 2025’에서 크래프톤은 기존 NPC(Non Player Character)와 차별화된 새로운 개념의 AI 캐릭터인 CPC(Co-Playable Characters)를 공개하였습니다. 정해진 스크립트에 따라 제한된 행동만 해왔던 게임 속 NPC에 생성 AI 기술이 접목되면서 자율적으로 움직이고 과거 경험을 기억하며 변화하는 캐릭터인 CPC(Co-Playable Characters)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캐릭터들은 NVIDIA의 ACE(AI Character Engine) 기술을 기반으로 게임 특화 온디바이스 소형 언어 모델(SLM)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게임 이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캐릭터입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CPC가 실제 게임에 구현되는지에 대해 CES에서 공개된 3월 얼리액세스 버전으로 출시 예정인 '인조이(inZOI)'의 'Smart Zoi'와 PUBG의 'PUBG Ally'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inZOI의 Smart Zois – 살아있는 가상 시민의 탄생

기존 NPC는 단순히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미리 입력된 대사만 반복했죠. 하지만 Smart Zois는 다릅니다. 각 Zoi는 고유한 선호도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선호도는 대화의 흐름과 관계 발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 플레이어가 캐릭터와의 관계를 깊이 탐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Zoi는 서로에 대해 점진적으로 배우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으며 향후 플레이어가 스마트 Zoi에게 자유롭게 질문하고 AI는 이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Smart Zois가 매일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 날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독창적이고 개인화된 캐릭터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러한 독특한 스마트 조이들이 모이면, 다양성이 넘치는 도시가 형성되어 예측 불가능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풍부하고 역동적인 이야기 중심의 시뮬레이션을 창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단순한 라이프 시뮬레이션을 넘어, 실제와 가까운 가상 세계를 구현할 가능성을 열어주는데요, 현실과 유사한 그래픽 수준과 자연스러운 동작뿐만 아니라, 플레이어와 NPC 간의 관계 형성을 통해 더욱 몰입감 있는 게임 환경이 조성될 수 있습니다.

다만, 본 게임은 사용자의 GPU에서 작동하는 SLM 기반 AI로 성능 최적화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GPU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NPC만 CPC로 설정할 수 있는 옵션형 슬라이더 기능과 같은 최적화 방안도 고려 중입니다. 이러한 최적화 과제가 해결된다면, CPC를 통해 게임 몰입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PUBG의 AI 팀원 'PUBG Ally'

기존 PUBG 솔로 플레이에서는 AI팀원이 단순한 ‘봇’ 수준이었는데요, PUBG Ally는 완전히 다른 AI 팀원으로 등장합니다. 게임 내에서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고, 상황에 맞춰 전략을 세우며, 플레이 스타일을 조정하는 등 실제 플레이어와 비슷한 행동을 수행합니다. 특히, 게임에 특화된 용어를 이해하고 아이템 탐색 및 공유, 차량 운전, 전투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제 솔로 플레이어도 더 자연스럽고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AI NPC가 전술적 결정을 내릴 경우 인간 플레이어와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만약 AI 보스가 플레이어 전략을 학습한다면 보스전은 더 어려워질 수 있으며, 전투 패턴도 플레이어의 행동에 맞춰 변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AI 팀원이나 보스의 능력이 지나치게 강력해질 경우, 게임의 밸런스를 해칠 수도 있다는 점도 고민해야 할 부분입니다.

출시 이후 실제 게임환경에서 검증이 필요하겠지만, 고도화된 AI NPC가 등장하면서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게임의 몰입감과 전술적 플레이 경험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CPC 핵심 기술 : ACE(AI Character Engine)

2023년 초기 ACE는 단순한 대화형 AI NPC 기술이었지만, LLM과 AI 반도체칩 관련 기술개발로 최신 버전은 한층 진화했습니다. NVIDIA의 ACE 기술은 RTX GPU를 활용한 AI기반 게임 캐릭터 생성 및 제어 기술로 AI NPU 구현을 위해 크게 세가지 핵심 기술이 적용됩니다.

  • 실시간 AI 연산 - Tensor Cores & SLM 실행

기존에는 AI 모델을 클라우드에서 실행해야 했기 때문에 딜레이 발생 및 비용 발생 이슈가 있었는데요, 이제는 RTX GPU의 Tensor Cores를 활용해 SLM(Small Language Model)을 온디바이스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어 클라우드 의존도를 줄이고, 실시간 AI 반응이 가능합니다.

  • 환경 인식 및 행동 변화

기존 NPC는 사전 설정된 행동을 반복했지만, ACE 기반 AI NPC는 SLM과 RTX AI 가속을 활용하여 환경을 인식하고 변화합니다.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적응하고 반응할 수 있어 매번 다른 게임 경험을 제공합니다.

  • 멀티모달 AI 지원

RTX GPU 멀티모달 AI 지원으로 음성 및 시각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식해 더 현실적인 반응을 제공합니다. 게임 속에서 소리와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플레이어가 말하는 전략을 분석해 대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크래프톤, AI 연구와 글로벌 협력 확대

이런 AI 기술을 만들기 위해 크래프톤은 2021년부터 약 1,000억 원 이상을 투자하며 연구개발(R&D)과 협력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게임사 중에서도 생성형 AI를 가장 적극적으로 접목하며 게임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오는 2025년 4월, 글로벌 AI 컨퍼런스에서 5편의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며, 비전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AI가 프롬프트 내용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도 창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엔비디아에 이어 오픈AI와도 협력을 확대하고 있는데요. 지난 2월 4일,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는 오픈AI 샘 올트먼 회장을 만나 고품질 LLM을 기반으로 한 CPC 개발, 게임 특화 AI 모델 최적화 방안, AI 게임 융합 기술 발전 방향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이제 NPC도 AI 기술과 접목되어 새로운 방향을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AI 기술이 게임 산업에 미칠 영향력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게임산업 뿐 아니라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도 새로운 경험과 재미를 제공하는 콘텐츠가 나타나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