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핵심 인재 이탈, 주요 투자사인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갈등, 투자 지연, 윈드서프 인수 실패, 재정 악화 등으로 위기론이 재점화된 오픈AI가  AI 기반 웹 브라우저 출시로 새로운 분위기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IT 업계에서는 오픈AI의 참여로 '브라우저 전쟁 3.0'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1차 브라우저 전쟁(1995~2004)은 한때 80%의 시장점유율을 가진 넷스케이프와 MS 인터넷 익스플로러와의 경쟁으로 당시 MS가 윈도우 98의 기본 브라우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탑재하면서 결국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승리로 종결됐다. 2차 브라우저 전쟁(2009~2015)은 모질라재단의 파이어폭스, MS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 크롬간의 치열했던 브라우저 전쟁으로 결국 안드로이드로 모바일 OS 시장을 장악한 구글 크롬이 최후 승자가 되었다.  

웹 분석 기업 StatCounter에 따르면, 현재 구글 크롬은 전 세계 브라우저 시장 점유율 68.3%로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용자 수는 30억 명을 넘는다. 2위인 애플 사파리(Safari)는 17%, MS 엣지는 4.9%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