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매일경제신문사에서 출간한 “AI 비즈니스 트렌드 2025(기업과 개인이 가장 많이 쓰는 AI 서비스 40가지)” 내용중 일부로 저자와 출판사의 동의를 받았습니다”

2022년만 해도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어떤 제품을 주문하면 최소 15일, 길게는 2개월까지 기다려야만 제품을 받을 수 있었다. 지인끼리 우스갯소리로 “알리에서 산 물건들은 뭘 샀는지 잊어버릴 때쯤 배송이 온다”라고 농담을 할 정도였다.‌‌하지만 요즘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처음에는 5일 배송이라는 이벤트를 열어 5일 이내 배송이 안되면 배상금을 주기도 했으며, 거의 2~3일 내에 상품이 도착할 때도 있다. 이러한 진화는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시장 투자도 물론 영향을 끼쳤지만, 물류 시스템에 AI가 도입된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세계적으로 투자가 커지는 물류 AI

한국 소비자들은 물류 시스템의 중요성을 비교적 낮게 평가한다. 우리는 오래전부터 당일 배송, 새벽 배송이라는 시스템을 당연한 듯이 받아들이고 있으며 택배가 하루만 지연돼도 불만이 쌓이곤 한다. 사실 우리나라의 뛰어난 물류 환경은 좁은 땅에 많은 인구가 집약되어 살아가는 구조 덕에 가능한 혜택이다. 물류 창고나 배송 인프라가 잘 준비되어 있어 이를 누릴 수 있다. 하지만 미국, 중국, 인도, 브라질 등과 같은 큰 영토를 가진 국가들은 효율적인 물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물류 AI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