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이컨설팅 PSB 김원일

지난 2023년 영화 ‘만추’가 극장 재개봉 되었다. ‘만추’는 2010년 개봉된 영화지만 대단히 세련되었고, 특히 주인공인 현빈과 탕웨이는 15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모습이기에 일단 관람을 시작하면 15년 전 영화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사실 이 ‘만추’는 1966년 신성일, 문정숙 주연의 동명의 영화 ‘만추’를 리메이크 한 영화였다. 현빈과 탕웨이가 출연하는 2010년의 ‘만추’를 좋아했던 관객들 중에는 분명 1966년의 ‘만추’와 비교해 보고 싶었던 이들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두 영화를 비교할 수 없다. 아날로그 시대에 필름으로 제작되었던 만추는 그 필름이 분실되는 바람에 지상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이제 지구상에서 1966년 ‘만추’를 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아날로그 영화 필름을 보관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2시간 분량의 영화 컨텐츠를 담고 있는 영화 필름은 부피가 크고 무거울 뿐 아니라 좋은 화질을 유지하기 위해 적당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방에서 보관되어야만 한다. 과거에는 필름 보관 방법에 무지했기 때문에 ‘만추’ 뿐 아니라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로 알려진 ‘아리랑’ 등 수많은 한국 영화들이 분실되거나 훼손되었고, 우리는 이들 영화를 영원히 볼 수 없게 되었다. 영화 필름을 보관하던 사람들은 공간이 부족해 질 때 마다 오래된 필름들부터 폐기하였고, 휴지통이나 소각장에서 영화 필름을 주운 사람들은 영화 필름을 모자의 테두리 장식으로 만들어 판매하게도 했다. 영화 데이터의 가치를 모르던 시절에 일어났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