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정부 출범과 함께 글로벌 무역 갈등이 격화되고, 공급망 리스크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미 달러화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주요국 국채 금리는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트럼프 정부의 급진적인 정책 기조는 제도 전반에 변화를 몰고 오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 변화가 대표적이다.
ESG 규제 완화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국내 증권업계도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ESG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용어로, 기업이 사회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는 투자 기준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업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얼마나 줄이는지, 근로자에게 안전하고 공정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지, 그리고 기업이 얼마나 투명하고 책임 있게 운영되는지를 종합적으로 따지는 기준이다. 그렇다면, 트럼프 1기 정부를 시작으로 바이든 정부를 거쳐 2기 정부까지 ESG 정책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트럼프 1기 정부 ESG 정책: 2017~2021]

트럼프 1기 행정부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은 전임 오바마 행정부와 뚜렷하게 대비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Anything But Obama(ABO)’라는 기조 아래, 오바마 정부의 친환경·사회적 책임·투명성 강화 정책들을 대대적으로 철회하는 데 집중했다.

환경 분야에서는 파리기후협약 탈퇴를 공식 선언하고, 화석연료 산업의 부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공조에서 이탈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강화되었던 환경 규제는 대폭 완화되었고, 석유·가스·석탄 등 전통 에너지 산업의 생산 확대, 연방 토지 내 시추 허가 확대, 파이프라인 건설 장려 등 에너지 실용주의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우선시하는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재생에너지 투자 및 탄소배출 저감 약속 등은 유보되거나 축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