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상 예보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이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는 2025년 2월부터 AI 기반 예보 시스템인 AIFS(Artificial Intelligence Forecasting System)를 정식 도입하며, 날씨 예측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ECMWF의 AI 예보 시스템은 열대성 사이클론 경로 예측을 기존보다 12시간 앞당겼고, 태양 복사량과 풍력 터빈 높이인 100m에서의 풍속 예측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처럼 AI 기상예보 기술의 발전은 기상 산업은 물론 전 산업 분야에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농업 분야에서는 농작물 재배와 관수 관리에 정밀한 기상 예보를 적용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미국 스타트업 벤치마크랩스(Benchmark Labs)가 개발한 농장 맞춤형 AI 일기예보 서비스를 도입한 캘리포니아의 한 농장은 물 사용량을 10% 절감하면서도 수확량이 최대 100%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국내 기상청도 최근 자체 개발한 AI 초단기 강수예측모델을 도입하여, 기존에는 폭우 발생 2시간 전에야 호우 경보를 내릴 수 있었던 것을 6시간 전으로 앞당겼습니다. 그만큼 여름철 국지적 폭우에 대비할 여유를 확보한 것입니다. 이처럼 AI 기술이 기상예보 시장의 판도를 바꾸기 시작하면서, 예보 가능 기간은 더 길어지고 공간 해상도는 더욱 촘촘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서울 당산동4가 40분 후 침수확률 30%”와 같은 구체적인 지역 단위의 예측도 현실이 되었습니다.